자유게시판
이곳은 군민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공간으로 게재된 내용에 대한 답변은 하지 않습니다. 아울러 건전한 통신문화 정착과 군민의식함양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며특정인 비방, 광고, 음란물, 유사 또는 반복 게시물 등은 사전 통보없이 삭제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판의 건전한 운영을 위하여 "예천군 인터넷 시스템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6조" 에 해당하는 글은 사전예고 없이 삭제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70조"에 의하여 처벌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글 등록시 제목이나 게시내용, 첨부파일등에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사업자등록번호, 통장계좌번호 등)는 차단되오니 기재를 금합니다.
도청신도시 예천 1,921 : 봉서연꽃농원...봉우농장
---
봉서연꽃농원 ; 예천곤충엑스포 성공기원 제1회 봉서연꽃농원 연꽃축제 성황리에 개최/ 2007예천곤충바이오엑스포 성공을 기원하는 제1회 연꽃축제가 18일 오후 6시~8시까지 호명면 선몽대 입구 봉서연꽃농원(대표 김철환)에서 화려하게 개최됐다. 엑스포 성공을 기원하는 이날 행사.../ m.ycinews.co.kr/view.asp?intNum=7953&AS.. 예천인터넷뉴..(daum 2017)
봉서연꽃농원 ; 선몽대 : 예천여행 - 선몽대 일원, 아침 연꽃봉서농원/ 2008.06.11/ 대한민국 여행문화코드 – 일상... 선몽대 : 선몽대/ 2008.03.25/ 예천군 호명면 백송리에 위치한 선몽대! ▼ 선몽대 주차장.../ ycg.kr/open.content/ko/participate/free.. 예천군청(daum 2017)
봉서연꽃농원 ; 선몽대 숲은 명승의 차원을 넘어 선다/ 나온다. 이곳에서 우회전하여 호명면소재지를 지나 924번 지방도를 따라가면 바로 백송리에 이르게... 齋)라는 기와집이 보인다. 이곳에는 약 2년 전에 정착하여 봉서연꽃농원(http://www.achimpia/ m.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 오마이뉴스(daum 2017)
봉서연꽃농원 ; 봉서농원 관람 예찬/ 가장 인상 깊은 것은 예천봉서농원의 백련화 농장 풍경입니다. 곤충의 나라, 자연이 숨쉬는 고장... 그대로 재현한 농장주인의 한옥집, 하얀 연꽃의 절경, 흙탕물속에서도 변치 않은.../ www.ycg.kr/open.content/ko/participate/.. 예천군청(daum 2017)
봉서연꽃농원 ; 유천면, 취미 과제교육 실시/ 생활기술 및 취미 과제교육으로 생활개선회원들의 능력을 높이기 위한 이번 과제교육은 아침연꽃봉서농원 김철환 씨의 지도로 생활원예 분야인 연꽃화분심기 및 당면 영농교육에 이어서 다음달 15.../ women.nongupin.co.kr/news/articleView.h.. 여성농업인 ..(daum 2017)
봉서연꽃농원 ; 스킵 네비게이션/ 유치원과 1,2학년 학생들은 우리 고장의 자랑거리인 예천 신라식물원, 선몽대(예천 봉서연꽃농원), 예천진호국제양궁장를 둘러보고 체험하여 우리 고장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m.yecheon-ed.go.kr/public/pr/sub1_4.csh.. (daum 2017)
봉서연꽃농원 ; 예천군, 용문중 교사·학생 체험교육 '실시'/ 자연공예 체험 등을 할 수 있는 신라식물원(감천 유리), 연을 활용한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봉서연꽃농원(호명 백송리), 콩 수확 및 두부만들기 등의 체험을 할 수 있는 물래실농원(보문.../ kbn-tv.co.kr/read.php3?no=217024&read_t.. KBN 대한방송(daum 2017)
봉서연꽃농원 ; 백련~/ 예천 호명 봉서농원에서... 많아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자란 지황꽃 연꽃 수련~ 애벌레~ 등심붓꽃 열대수련~ 백련.../ www.fotoart.x-y.net/gallery_2/13448 영주영상회(daum 2017)
봉서연꽃농원 ; 삼청(三淸) 명승19호 선몽대/ 白蓮)을 가공한 연떡국,연차,연냉면을 개발하여 선보이고 있다. ▲ 봉서재 봉서농원을 경영하는 김철환(경북 예천군 호명면 백송리 104번지) 씨 소유의 연재배 교육장으로 활용.../ photo260.com/seonmongdae/seonmongdae.ht.. (daum 2017)
봉선록(奉先錄 第三) [冊] : 예천 이 진사댁 입장(入葬) 때 광중(壙中)에서 나온 주부공(主簿公) 이양호 묘지석(墓誌石)을 근거로 이양호의 분묘가 이들에 의해 굴파(堀破)된 것이 아닌가에 대한 논의를 위해 여러 문중 부형에게 족회(族會) 참석을 촉구한 통문(通文)이 포함되어 있다. 진성 이씨 주촌파(周村派)의 내력 및 선대 사적 관련 기록들이 수록되어 있는 가계 기록류에 해당하고, 봉선록 중 세 번째에 해당한다. 진성 이씨 주촌파 관련 각종 제문, 묘문(墓文), 고문(告文), 정문(呈文), 완문(完文)과 선대 묘소 봉식(封植)에 관한 문서들이 수록되어 있다.(韓國歷史情報統合시스템 2002)
봉선사(鳳仙寺) [절] : 상리면 백석리(白石里) 흰돌마을에 있는 사찰로, 옛날 경치가 수려하여 소금강산(小金剛山)이라고 한 백봉암산(白峰岩山) 중턱에 암자가 있었다고 하나 없어지고, 1955년 경 이 산 중턱에 암자를 다시 지었다.
봉선산: →고성산
봉수: →서암산 봉수, →소이산 봉수, →예천고항리 봉수, →용비산 봉수
봉수대: →봉우재, →봉화대
봉수산: →봉우재
봉수제(烽燧制) [通信] : 우리나라의 봉화제(烽火制)의 시초는 가락국(駕洛國)의 왕후 허씨(王后許氏)를 맞아올 때 유천간(留天干)을 망산도(望山島)에 보내 기다리게 하였는데, 붉은 돛, 붉은 기를 단 이상한 배가 오는 것을 보고 봉화로 신호를 하였다고 <가락국기(駕洛國記)>는 전하고 있으나 조직적으로 제도화하기는 1149년(고려 의종 3) 8월에 서북병마사 조진약(西北兵馬使曺晋若)의 건의에 의하여 봉수식(烽燧式)을 사용하되 밤에는 횃불을 켜고, 낮에는 연기를 내게 하였고, 평시에는 2거(二炬, 횃불), 위급 시에는 2거-4거로 완급(緩急)을 알렸다. 이 제도는 조선시대에도 대체로 고려 시대와 같으나 세종 때 정식으로 봉수제도를 마련하였는데, 평시에는 횃불을 1개, 적이 나타나면 2개, 적이 국경에 접근하면 3개, 국경을 넘어오면 4개, 접전(接戰)을 하면 5개를 올리되 구름이 끼거나 바람이 불어서 연락을 할 수 없을 때에는 봉군(烽軍)들이 차례로 달려서 관할 진장(鎭將)에게 보고하였다. 예천군에는 예천읍에 서암산 봉수(西菴山烽燧), 풍양면에 소이산 봉수(所伊山烽燧), 용궁면에는 용비산 봉수(龍飛山烽燧)가 있었다. 임진왜란(1592) 후에 폐지되었는데, <예천군읍지(醴泉郡邑誌, 1780)>에서 "지금은 없어졌다(今廢)"라고 하였다.
봉안경당(천주교안동교구 봉안경당) : 예천군 지보면 지풍로 983-41에 있는 안동교구 성직자와 신자들의 유골안치단(납골단)으로, 매주 토요일 오후 3시, 추석, 위령의날(11월 2일), 삼우미사 및 미사 가능(유가족 요청시)하다.(作成 張炳昌 2018.6.24)
봉암골(鳳岩洞) [골] : 개포면 갈마리 갈마(葛麻) 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부엉바우가 있다.
봉암골 : 봉암골/ 계곡, 주소 경북 예천군 개포면 갈마리(daum 2017)
봉암동(鳳岩洞), 봉현동(鳳峴洞) [마을] : 개포면 갈마리(葛麻里)에 있는 남향 마을로, 원래 봉현동(鳳峴洞)을 1909년 경 뒷산이 날아가는 새의 모양 같은 매봉(鷹峰)이고, 이 산에 있는 많은 바위가 모두 마을을 향해 절을 하고 있고, 특히 마을 앞에 있는 바위가 부엉이처럼 앉았다고 하여 봉암동(鳳岩洞)이라 부르게 되었다. 1974년 이웃 마을은 특수 부지로 거의 돌어가고, 지금은 이 마을이 갈마리를 대표한다. 22가구 164명(1980) 중 삼척 金 20여 가구, 黃, 개성 高, 李, 영일 鄭 등이 살고 있다.
봉암동(鳳岩洞, 鳳峴洞) : 葛麻里 소속으로, 본래는 봉현동(鳳峴洞), 1909년경 뒷산이 응봉(鷹鳳)이므로 응봉(鷹鳳)의 응자(鷹字)를 봉자(鳳字)로 하고 마을 주위에 있는 바위가 마을을 향하고 있고 마을 앞에 있는 바위가 부엉이처럼 앉았다고 하여 암자(岩字)를 따서 봉암동(鳳岩洞)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開浦面홈페이지 2013)
봉암동 : 봉암동/ 지명, 주소 경북 예천군 개포면 갈마리(daum 2017)
봉암들(鳳岩坪) [들] : 개포면 갈마리 봉암(鳳岩) 앞에 있는 들이다.
봉암들 : 고향이야기---개포면---<각 리(里)의 지명유래>/ 2002.12.02./ 부엄바우가 있다. * 봉암들[鳳岩들] [들] 봉암 앞에 있는 들. * 부엉 바우[鳳岩... 늪이 있었다. ◎ 경진동(京津洞) 본래 개포면의 지역으로서, 서울나드리 또는 경진이.../ cafe.daum.net/yuchon/KIH/ 유천중학교총동문회(버들골 동문들이여..(daum 2017)
봉암리(鳳岩里) [터] : 1857년부터 용궁현 북상면(龍宮縣北上面) 소속의 행정 동리로, 원래 임진왜란(1592) 직후부터 용궁현 북하면 입암리(龍宮縣北下面立岩里) 소속 지역이었으나, 1857년에 용궁현 북상면(龍宮縣北上面)에 편입되어 봉암리(鳳岩里)가 되었고, 1895년(고종 32)에 용궁군 북상면 봉암리(龍宮郡北上面鳳岩里)가 되었다. 1914년에 예천군 개포면 갈마리 봉암동(醴泉郡開浦面葛麻里鳳岩洞)이 되었다.(竺山勝覽 1934) →봉암동
봉양~예천간도로포장공사(4차) 구조 및 수리계산서(봉양~醴泉間道路鋪裝工事(4次) 構造 및 修理計算書) [文書] : 저자 : 부산지방국토관리청/ 발행일 : 2003년 06월 30일/ 발행기관 : 건설교통부/ 제어번호 OTMCRP410033/ 작성언어 한국어/ 정보제공기관 : 건설교통종합정보관리시스템/ 제공기관 : 한국건설기술연구원(www.knowledge.go.kr 2006)
봉양~예천간도로포장공사실시설계(4차) 보고서(봉양~醴泉間道路鋪裝工事實施設計(4次) 報告書) [報告書] : 저자 :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 부산지방국토관리청/ 발행일 : 2003년 06월 30일/ 발행기관 : 건설교통부/ 제어번호 OTMCRP410034/ 작성언어 한국어/ 정보제공기관 : 건설교통종합정보관리시스템/ 제공기관 : 한국건설기술연구원(www.knowledge.go.kr 2006)
봉우농장(개포면 가오실길 붕우농장 이세붕.이인순 부부 농협중앙회 새농민 '본상 수상' 쾌거!) [기사] : 예천농협(조합장 이달호)은 2019년 7월 1일 개포면 가오실길 붕우농장 이세붕.이인순 부부가 제54회 '새농민像 본상(새농민 본상은 엄격한 심사를 거쳐 전국에서 매년1회 20쌍의 부부에게 수여)'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새농민상은 농협중앙회가 새농민 정신(스스로 일어서는 자립, 끊임없이 개선하는 과학, 이웃과 함께하는 협동)에 가장 부합하는 선도 농업인에게 주어지는 농업인 최고의 상으로 평가받고 있다. 평소 남다른 노력과 성실함으로 역경을 이겨낸 농업경영인 이세붕씨는 1988년 시설재배를 활용한 청양풋고추 작목반을 결성, 시설원예재배의 불모지였던 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현재 풋고추 뿐 아니라~ 양채류와 과채류, 토마토와 수박 등 비가림 친환경 시설 재배의 기본토대를 다졌으며 지역농촌발전과 농가소득증대에 크게 이바지함을 인정받아 1995년에 '이달의 새농민상'을 수상한 바 있다. 평소 친환경에 대한 남다른 관심을 가지고 있던 이세붕씨는 논농사에서 가정 넘기 어려운 관문인 제초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이 우렁이 농법이라 판단, 우렁이 농업의 선두 주자인 충북 음성을 비롯하여 전국의~ 우렁이가 있는 곳은 어디든 달려가 배워 가면서 예천군 관내 친환경 벼 재배 농가와 인근 시군에 약10t 가량의 우렁이를 공급하여 친환경농법으로 안전하고 건강한 국민의 밥상을 만드는데 일조하고 있다. 한편 새농민 수상자인 이세붕씨는 개포면 체육회장, 개포풋고추 작목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부인 이인순 여사와 1남 1녀의 자녀를 두고 다복한 가정을 이루고 있다.(정차모 기자 예천인터넷뉴스 2019-07-06)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홍보소통담당관전산정보팀(☎ 054-650-6074)입니다.
최종수정일2019.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