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관리

결핵이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의 전염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폐결핵 환자로부터 나온 미세한 침방울에 의해 직접 감염되며 주로 폐에 발생하지만, 뇌, 척수, 림프절 등 인체의 모든 장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결핵주요 지표는 OECD 가입국중 1위이며, 국내 법정감염병 중 발생 및 사망이 가장 많고 막대한 질병부담을 초래하는 만성감염병이니 만큼 조기에 치료·발견하여 내가족과 이웃에 전파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 하여야 하겠습니다.

결핵의 감염 및 전파

  • 전염성이 있는 폐결핵환자가 말을 하거나 기침 또는 재채기를 할 때 결핵균이 공중으로 떠돌아다니다가 주위에 있는 사람들이 숨을 들이쉴 때 공기와 함께 폐속으로 들어가 증식함으로써 감염이 이루어집니다.
  • 결핵환자와 접촉했을때는 의료기관 또는 보건소를 방문하셔서 결핵 및 잠복결핵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단순히 결핵균에 노출되거나 감염되었더라도 잠복결핵감염 상태인 사람은 결핵균을 결코 다른사람에게 전파 시킬 수 없고 오로지 활동성 결핵환자만 타인에게 결핵균을 전파시킬수 있습니다.

결핵의 증상

  • 결핵의 증상은 매우 다양합니다. 기침,객담,발열(특히 야간발열),객혈,식은땀,체중감소, 피로 등이 있을 수 있지만 초기 결핵의 경우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을 수도 있어 건강검진으로 시행한 흉부방사선에서 우연히 발견되기도 합니다.

결핵예방

  • 영·유아 및 소아의 중증결핵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후 1개월이내에 BCG접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개인건강관리 : 결핵은 심한 피로, 스트레스, 무리한 다이어트 등으로 인한 면역력 저하가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영양상태를 유지하며 건강하게 살수있도록 스스로 몸 관리를 잘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술과 흡연은 금해야 합니다.
  • 의심증상시 결핵검사 : 2주이상 기침이 지속되면 결핵을 의심하고 흉부방사선촬영을 해야합니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때는 손이 아닌 휴지, 손수건 또는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는 기침예절을 잘 실천해야 합니다.

질병관리청 결핵제로(ZERO) 홈페이지

담당자
  • 결핵 담 당 자 : 054-650-6476
  • 결핵전담간호사: 054-650-8093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보건소감염병관리팀(☎ 054-650-6478)입니다.

최종수정일2021.08.06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