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자정보
해외 여행자를 위한 건강관리의 필요성
최근 해외 여행자의 숫자가 증가함에 따라 여행과 관련된 질병이나 사고 발생율이 크게 늘고 있다.해외여행과 관련된 질병 발생 위험은 여행 지역, 여행 목적, 여행 일정, 숙박 형태 및 여행자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다르다.
특히 아프리카 사파리 여행, 중남미 열대지역으로의 배낭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황열, 말라리아 등 감염 질환에 대해 미리 예방주사를 맞고 예방약을 복용해야만 한다.
해외 여행자의 출국 전 건강관리
- 여행 관련 건강위험도 평가
- 예방접종, 말라리아 예방
- 여행 관련 건강문제에 대한 상담 및 교육: 상비약 준비, 시차증, 멀미, 항공 중이염, 여행자 설사, 고산병, 성전파 질환 및 AIDS 예방
예방접종
여행자의 목적지, 여행기간, 건강상태 및 이전 예방접종 여부를 고려하여 필요한 백신을 선별하고 적어도 출발하기 4∼6주 전부터
접종 스케쥴을 잡는다. 예방접종에는 입국시 공식적으로 요구하는 필수 예방접종과 필요에 따라 접종하는 권장 예방접종이 있다.
가. 필수예방접종
황열
황열은 모기가 매개하는 바이러스 질환으로 지역적으로 중부 아프리카와 남미 지역, 특히 적도 중심으로 20도 내외의 지역에서 호발한다. 황열 예방접종 증명서는 현재 해외여행시에 요구되는 유일한 증명서이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감염지역으로부터 들어오는 여행자들, 또는 이런 지역을 경과해서 오는 여행자들에게 공인된 국제예방접종 증명서를 요구한다.일부 국가에서는 입국하는 모든 여행자들에게 이 증명서를 요구하기도 한다.
반면에 황열유행지역에서 도시지역을 벗어나 여행하려는 사람에게는 비록 이 나라가 황열을 공식적으로 보고하지 않거나 입국시
예방접종 증명을 요구하지 않는 국가라 하더라도 예방접종을 강력하게 권고해야 한다. 예방접종은 거의 100% 효과가 있으며, 반면에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성인에서 질병발생시의 치명율은 60%를 넘는다.
예방접종 증명서는 규정된 형식을 갖추어야 하며, 세계보건기구가 인정한 황열 예방접종센터 (Yellow Fever Vaccinating Center)에서 세계보건기구에서 인정한 백신으로 시행된 경우에만 유효하다. 황열에 대한 국제 예방접종 증명서의 유효기간은 접종 10일 후
부터 시작하여 10년이다. 만일 이 기간이 지나기 전에 재접종을 받는다면 유효기간은 재접종일로부터 10년까지 연장된다. 재접종에 대한 기록이 새 증명서에 기재될 경우에는 새 증명서가 유효해지는 10일 후까지는 이전 증명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접종대상
- 가) 황열 감염이 공식적으로 보고되는 남미와 아프리카에 여행을 하거나 거주하는 자
- ※ 아프리카 : 가나, 가봉, 감비아, 기니, 기니비시우, 나이지리아, 니제르, 라이베리아, 르완다, 말라위, 말리, 모리타니, 부르키나파소, 부룬디, 베냉, 상투멘프린시페, 세네갈, 소말리아, 수단남부, 시에라리온, 앙골라, 우간다, 에티오피아, 자이레, 잠비아,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지부티, 챠드, 카메룬, 카보 베르데, 케냐, 코트디부아르, 콩고, 탄자니아, 토고, 보츠와나
- ※ 중 남 미 : 가이아나, 기아나,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벨리즈, 볼리비아, 브라질, 수리남, 에콰도르, 온두라스,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파나마, 페루, 과테말라, 트리니다드토바고
- 나) 황열 예방접종을 요구하는 국가에 여행하는 자
- ※ 아프리카 : 가나, 가봉, 니제르, 라이베리아, 르완다, 말리, 모리타니, 베냉, 부르키나파소, 상투멘프린시페, 자이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콩고, 토고
- ※ 중 남 미 : 기아나
접종시기
- 위험지역에 도착하기 적어도 10일 전
주의 및 금기사항
- 가) 연령 : 6개월 미만의 영아는 황열예방접종을 받지 않는다.
- 나) 임신 : 황열의 폭로 위험이 크지 않는 한 임신중에는 접종하지 않는다.
- 다) 과민반응 : 계란에 과민반응이 있는 사람은 금기이다.
- 라)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체내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는 접종하지 않는다.
- 마) 다른 백신과 동시 투여
- 연구에 의하면 홍역, BCG, B형 간염 백신과는 함께 투여해도 항체형성에 방해를 받지 않는다.
- 면역글로불린과 함께 주사해도 황열 백신의 효과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콜레라 백신과는 적어도 3주 이상의 간격을 두고 맞는 것이 좋다.
- 장티푸스, 페스트, 광견병, 일본 뇌염 백신과의 상호 작용은 알려진 바 없다.
콜레라
권고하지 않고 있다. 최근 경구용 콜레라 백신이 상품화되어 일부 국가에서 이용되고 있으나, WHO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지는
않았다. 콜레라가 유행하는 지역에서도 콜레라 환자는 대개 위생상태가 불량한 사람에서 발생하므로 콜레라에 걸릴 위험은 그다지
높지 않다. 또 백신을 맞았다고 음식을 주의하지 않으면 오히려 콜레라 뿐 아니라 여행자설사를 앓게 된다. 백신보다는 개인위생을
철저히 지키고, 음식물 섭취에 주의를 하고, 발병하면 수액요법을 확실히 받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접종대상
- 콜레라 유행지역에서 위생여건이 좋지 않은 곳에 근무하는 사람이나 소화기 방어기전에 장애가 있는 사람(무위산증 또는
위절제환자, 제산제 장기 복용자 등)
접종시기 및 방법
- 기초접종 : 1주 ~ 1개월 간격으로 2회 0.5ml 피하, 혹은 근육주사
- 추가접종 : 초기접종 후 매 6개월마다 1회 추가접종
나. 권장 예방접종
장티푸스
A형간염
광견병
파상풍
폴리오
MMR
그밖에 B형간염과 일본뇌염
말라리아 예방
말라리아
모기에 물리지 않는 방법
예방적 화학요법
- 가) 클로로퀸(chloroquine)
- 클로로퀸 내성이 보고되지 않은 국가를 여행할 때에 사용할 수 있다. 매주 1회 1정(300mg)을 복용한다.
- 하이드록시클로로퀸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매주 1회 4정(400mg)을 복용한다.
- 나) 메플로퀸(mefloquine)
- 북아프리카, 카리브해 국가, 중남미 일부 및 중동 일부 국가 등의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이 클로로퀸(Chloroquine) 내성 지역으로, 이 경우 메플로퀸(Mefloquine),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을 사용하거나 클로로퀸과 프로구아닐(Proguanil) 병용요법을 사용해야 한다. 클로로퀸과 메플로퀸(250mg)은 매주 1회 복용하며 출발 1∼2주 전에 시작하여 위험지역에서 벗어난 이후에도 4주간 계속 복용한다.
- *메플로퀸 금기증
- 이 약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
- 정신질환이나 간질의 과거력이 있는 사람
- 심근 전도 장애가 있는 사람
- 비행기 조종사와 같이 정교한 조작과 공간식별력이 요구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이나, 베타차단제 같이 심근 전도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약제를 복용하고 있는 여행자에게는 이득과 위험성을 잘 고려해야 한다.
- 다) 독시사이클린
- 메플로퀸 내성이 보고된 태국 북부 지역, 캄보디아, 파푸아 뉴기니아를 여행하거나 메플로퀸을 복용하지 못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독시사이클린(100mg)이나 프로구아닐은 출발 1∼2일 전에 시작하여 매일 1회 복용한다. 역시 귀국 후 4주간 계속 복용하여야 한다. 독시사이클린은 피부광과민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태양 직사광선에 장시간 노출되기 쉬운 사람에게는 처방하지 않는다. 여성에게서 질 캔디다증을 유발할 수 있다.
- * 독시사이클린 금기증 : 임산부, 8세 이하의 소아
- 라) 특수한 경우의 예방요법
- 임신한 여성이 말라리아에 감염되면 산모사망, 신생아 사망 및 사산의 위험이 높다. 임산부에게는 클로로퀸-저항성 열대열 말라리아가 유행하는 지역을 가지 않도록 권고해야 한다. 부득이한 경우에는 클로로퀸과 프로구아닐 병합요법을 사용한다.
- 어린이가 말라리아에 걸리면 급격히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하다. 클로로퀸-내성 열대열 말라리아가 유행하는 지역에는 어린이를 데려가지 않는 것이 좋으며 피할 수 없는 경우라면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보호해주면서 말라리아 예방약을 먹여야 한다. 8세 이하 어린이에게 독시사이클린을 처방해서는 안되며, 클로로퀸과 프로구아닐은 어린이에게 안전하게 쓸 수 있다.
- 설파제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게 판시다를 처방해서는 안된다. 선천성 QT 연장이 있는 환자에게 할로판트린(halofantrine)을 처방해서는 안된다. 경구용 장티푸스 백신과 같은 약독화 생백신은 메플로퀸 예방요법을 시작하기 적어도 3일 이전에 접종 완료하여야 한다.
참고
황열 예방접종 공인 기관
- 국립 서울검역소 : (02) 664-9401~3
- 국립 부산검역소 : (051) 463-3501~3
- 국립 인천검역소 : (032) 883-7502~3
- (국립 서울검역소는 김포공항 신청사 2층 260호에 있으며, 오전 9시~오후5시 사이에 이용 가능함)
메플로퀸
- 말라리아 유행지역에 1달 이상 체류시 국립의료원 1층 약제과에서 무료 지급(의사 처방전 필요)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보건소모자보건팀(☎ 054-650-8015)입니다.
최종수정일2018.11.25